티스토리 뷰

여성의 건강한 삶을 

위해서 요즘은

피.임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임신 뿐 아니라 생리통이

 아주 심한 경우에도 해당하는데요. 

방법은 먹는 약이나, 
이식을 통해 이뤄집니다.


예전에는 자궁 내에 이식 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선뜻 쉽게 하지 못하는 

부담감이 있었다면 요즘은 간단하게 

하는 방법으로 많은 분들이 

시술하고 있습니다.


그 중 효과도 높고 시술 시간도 짧아 

최근 많이 하고 있는 임플라논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임플라논은 팔 안 쪽 피하지방에 

황체호르몬을 함유한 작은 바늘 같은 

기구를 넣어 배란을 억제하고

 

자궁경부의 점액을 끈끈하게 하여 

정자가 자궁으로 가는 것을 

막아주는 방법입니다.



황체 호르몬의 농도가 

먹는 약보다 낮아 

위장관 부작용이 심하거나 

약한 분들도 하실 수 있습니다.


임플라논은 

생리 시작 1일~5일 사이에 

이식을 해야 하는데 

만약 시술 시기가 올바르지 

않을 경우에는 효과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지속 기간은 약 3년 정도이고

중간에 임신을 원한다면 

제거해도 무방합니다. 

제거 후 생리가 시작되고 

임신이 가능합니다.


임플라논을 하고 나서 

3~6개월 동안은

불규칙적인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자궁내막의 변화에 의해서 인데 

자궁내막 성장이 억제되면서 

생리기간이 줄어들고 

생리량이 감소하여

생리통도 줄어듭니다. 

사람에 따라서는 무월경이 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몇 가지 부작용 및 주의사항은]


부정출혈과 체중증가, 

월경과다, 두통, 오심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가 있습니다.


삽입이 잘 안됐을 경우에 

바늘이 다른 곳으로 

갈 수도 있습니다.


특정 약물을 복용 중인 

경우에는 시술이 불가 합니다.


시술 직후에는 불편함과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시술 부위인 팔에 

흉터가 남을 수도 있습니다.


보험 적용이 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시술이 되지 않는 위험인자 

보유중인 경우도 있습니다.


이렇게 개개인 몸 상태에 따라 

약을 먹어야 하는지,

시술을 해야 하는지 다르므로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 후 

결정하셔야 합니다.


댓글